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주휴수당 쉽게 계산하기 지급 조건 완벽 정리!

블로그

by oksupapa 2025. 2. 10. 14:42

본문

반응형

 

근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주휴수당!
많은 분들이 주휴수당의 지급 기준과 계산 방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데요.
20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
꼼꼼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
주휴수당이란?

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,
근로자가 정해진 근무 일수를 모두 출근했을 경우 지급되는 추가 임금입니다.
즉, 1주일 동안 개근하면 하루치 급여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것이죠.

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

다음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:

  1. 주 15시간 이상 근무
    • 주당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.
    • 4주 동안의 근로시간을 평균하여 계산합니다.
  2. 소정근로일 개근
    • 계약된 근로일을 모두 출근해야 합니다.
    • 지각·조퇴는 개근 인정되지만, 결근하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
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

주휴수당은 근로시간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.

📌 주 40시간 이상 근무자의 경우

계산식:
👉 1일 소정근로시간 × 시급

예시:

  • 근무 조건: 하루 8시간, 주 5일 근무
  • 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  • 주휴수당 계산:
    • 8시간 × 10,030원 = 80,240원
  • 총 주급:
    • (8시간 × 5일 × 10,030원) + 80,240원 = 481,440원


📌 주 40시간 미만 근무자의 경우

계산식:
👉 (주 소정근로시간 ÷ 40) × 8 × 시급

예시:

  • 근무 조건: 하루 4시간, 주 5일 근무
  • 주 소정근로시간: 20시간
  • 주휴시간 계산:
    • (20시간 ÷ 40) × 8 = 4시간
  • 주휴수당 계산:
    • 4시간 × 10,030원 = 40,120원
  • 총 주급:
    • (4시간 × 5일 × 10,030원) + 40,120원 = 240,720원

주휴수당 지급 관련 주의사항

사업장 규모에 상관없이 적용

  • 5인 미만 사업장도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.
  • 주휴수당을 미지급하면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.

주휴일 지정은 유연하게 가능

  • 주휴일은 반드시 일요일일 필요 없음
  • 사업장 상황에 따라 다른 요일로 지정 가능
  • 근로계약서 또는 취업규칙에 명시해야 함

주휴수당 미지급 시 법적 처벌

  •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부과 가능
  • 지급 거부 시 근로자는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음


주휴수당 관련 오해와 진실

🔹 지각·조퇴하면 주휴수당이 안 나온다? ❌
👉 출근만 하면 주휴수당 지급 (지각·조퇴는 개근에 영향 없음)

🔹 수습 기간에는 주휴수당이 없다? ❌
👉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하면 수습 기간에도 지급


주휴수당 쉽게 계산하는 방법

정확한 계산이 어려우신가요?
👉 온라인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!

2025년 주휴수당을 제대로 알고, 정당한 권리를 받으세요!
💡 근로계약 시 주휴수당 지급 기준을 명확히 확인하고,
올바른 근로 환경을 만들어 나가시길 바랍니다.

 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